티스토리 뷰

목차



    지원금이 전액 커버해주는 건 아니다?

    2025년 하나은행 소상공인 200만원 지원사업은 간판 및 인테리어 시공비 일부를 정액 지원해주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총 공사비’가 지원금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원사업에 당첨되더라도 모든 비용이 무료로 처리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미리 인지해야 합니다.

    어떤 비용이 자부담으로 발생할 수 있을까?

    • 간판 제작·설치비가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은 자비 부담
    • 간판 디자인 비용은 원칙상 지원 제외
    • 인허가 수수료 (옥외광고물 허가 등)는 자부담
    • 부가세: 견적서 기준 ‘공급가액’까지만 지원되며, 부가세는 별도 납부
    • 운반·철거·폐기물 처리비: 간판 교체 시 부대 비용으로 발생 가능

    정산 시 실공사 금액 중 '지원 기준 이외 항목'은 모두 신청인이 부담해야 하므로, 시공 전 정확한 견적 체크가 필수입니다.

    📌 실제 사례: 부천 소형 카페 ‘오로라커피’

    - 시공 내역: 플랫 간판 + LED 조명 간판 설치
    - 총 견적: 278만원 (공급가액 252만원 + 부가세 26만원)
    - 지원금: 200만원 정산
    - 자부담: 52만원 + 부가세 26만원 = 총 78만원 자비 지출

    💡 상황별 자부담 절감 팁

    • TIP ①: 디자인, 인허가 등은 외주보다 자체 작업 권장
    • TIP ②: 간판 업자 선정 시 “200만원 내 견적 가능 여부” 협의하기
    • TIP ③: 시공 전 전체 내역서에서 '지원금 해당 항목'을 구분해두면 정산 시 유리

    ❓자주 묻는 질문 (Q&A)

    Q. 간판만 바꿨는데 왜 자부담이 발생하나요?

    공급가액(예: 220만원) 초과분 20만원과 부가세는 지원금 기준 밖 항목입니다.

    Q. 간판 디자인료도 지원되나요?

    아니요. 디자인 작업비는 간접 비용으로 분류되어 지원금 정산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Q. 부가세도 지원되나요?

    아니요. 부가세는 신청인이 납부해야 하며, 실공급가액만 지원금 기준입니다.

    Q. 정산서류에 자부담 항목이 있어도 되나요?

    있어도 무방하나, 정산 시 인정되는 항목만 총액에서 정산됩니다.

    마무리 체크

    ✔ 지원금은 ‘한도 내 일부 항목 지원’임을 이해하고
    ✔ 자부담 예상 비용을 사전에 확인하며
    ✔ 꼭 견적서 항목별 구분을 요청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